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양육비 직접지급명령2

양육비 지급 안 하면 형사 처벌 받을까요? [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, 양육비 미지급에 대한 제재, 조치, 감치, 벌금, 징역] 1. 서론 : 이혼과 양육권 이혼은 부부 간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기조를 담은 대법원 판례(2008므380)에서는 부부 간의 이혼 귀책사유가 있을지라도 여러 상황을 참작하여 미성년 자녀의 복리를 위해서는 귀책사유가 있는 부부 일방이 양육권자가 될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. “자의 양육을 포함한 친권은 부모의 권리이자 의무로서 미성년인 자의 복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에 부모 중 누구를 미성년인 자의 친권을 행사할 자 및 양육자로 지정할 것인가를 정함에 있어서는, 미성년인 자의 성별과 연령, 그에 대한 부모의 애정과 양육의사의 유무는 물론, 양육에 필요한 경제적 능력의 유무, 부 또는 모와 미성년인 자 사이의 친밀도, 미성년인 자의 의사 등의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.. 2023. 12. 6.
양육비 산정 기준표에 대한 착각 [양육비 실제 결정 기준] 부부 생활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미성년 자녀가 있다면, 반드시 수반되어야할 여러 절차가 있는데요. 그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은 양육자 선정과 양육비 부담에 관한 결정일 것입니다. 양육비는 원칙적으로 부모 쌍방이 자녀에게 부담하는 의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. 특히, 부모의 미성년 자녀에 대한 부양 의무는 1차적 부양 의무라고 하여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는 법적으로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. 그래서 이혼을 생각하신다면 이 미성년자 자녀의 양육과 양육비 부담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. [양육비 산정 기준] 2~3년에 한 번씩 서울가정법원에서는 이러한 부양의무에 필요한 비용을 "양육비"라고 하여 그 산정 기준표를 마련하고 공표하는데요. 많은 분들이 대부분 이 양육비에 대해 착각을 하고.. 2023. 11. 11.
728x90
반응형